티스토리 뷰

* 연속형 자료의 도수 분포표 작성방법


1. 자료의 범위 결정 : 자료의 최댓값과 최솟값을 찾아 자료의 범위(최댓값-최솟값, range)를 구한다.


2. 계급의 개수 및 계급구간의 폭 결정 : 계급의 개수가 대략 5개에서 15개 정도 되도록 정하고, 자료의 범위를 계급의 개수로 나누어 얻은 값보다 조금 큰 값을 계급구간의 폭으로 정한다. (계급의 개수 및 계급구간의 폭을 결정하는 식이 있으나 지금은 다루지 않겠다. )


3. 계급구간의 결정 : 모든 관측값을 포함하도록 각 계급구간의 경계점을 구한다.


4. 도수 구하기 : 각 계급구간에 속하는 관측값의 개수를 세어 계급의 도수를 구한다.


5. 상대도수 구하기 : 각 계급의 도수를 전체 관측값의 개수로 나누어 계급의 상대도수를 구한다.



ex) 


아래의 데이터는 어느 고등학교 한 반의 51명의 키를 기록한 것이다. (단위: cm). 이 데이터에 대한 도수분포표를 만들어라.




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


1. 최댓값은 183, 최솟값은 152이므로 범위는 최댓값 - 최솟값 = 31 이다.

2. 계급의 개수는 7로하고 계급구간의 폭은 5cm으로 정한다.

3. 계급의 구간을 결정한다. (1계급의 구간을 150~155로 정한다면 155를 1계급에 포함할지 2계급에 포함할지 혼동이 오기때문에 149.5~154.5로 정했다.)

4. 각 계급에 속하는 값의 개수를 세어 도수를 구한다.

5. 각 계급의 도수를 전체 데이터의 개수로 나누어 상대도수를 구한다.



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

* 히스토그램

? 히스토그램과 일반적인 막대그래프의 차이점

-->> 히스토그램은 순서가 있고 막대가 서로 붙어서 나타난다.


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


 


그래프의 모양이 (b)이봉형일 경우 두개의 이질적인 집단이 있는경우이다. 위의 키를 나타낸 그래프의 경우 남자와 여자로 나누어져 있다고 말할 수 있다.



댓글